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보안 이야기47

국가정보원, 병원정보시스템 보안을 위한 가이드라인 발표…의료분야 사이버보안 강화 본격화 최근 의료기관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가운데, 국가정보원이 병원 전산망과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보안 기준을 담은 ‘병원정보시스템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이번 가이드라인은 단순한 권고 수준을 넘어, 실제 병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무 중심의 보안 기준을 담고 있어 주목됩니다.병원보안 모델 연구 결과 반영…부처 간 협력의 결실이번 가이드라인은 단독으로 마련된 것이 아닙니다.국정원은 교육부, 보건복지부, 그리고 병원 현장 전문가들과 함께 ‘병원보안 모델 연구’를 수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 의료기관 환경에 적합한 보안 모델과 표준 운영 지침을 정립했습니다.이러한 협업의 결과로 탄생한 이번 가이드라인은 단순히 기술적 보안 조치에 머무르지 않고, 조직 차원의 정책 수립부터 .. 2025. 4. 4.
북한 APT37(ScarCruft)의 안드로이드 스파이웨어 배포 최근 보안 업체 룩아웃(Lookout)에 따르면, 북한과 연계된 해킹 그룹 APT37(ScarCruft)이 KoSpy라는 안드로이드용 스파이웨어를 구글 플레이를 통해 유포한 정황이 포착되었습니다. 이 그룹은 2012년경부터 활동을 시작했으며,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인도, 일본, 쿠웨이트, 네팔, 루마니아, 러시아, 베트남 등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공격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스파이웨어 KoSpy의 특징배포 시점KoSpy는 2022년 3월부터 활동이 포착되었으며, 한국어/영어 사용자를 집중적으로 노린 것으로 보입니다.위장 앱 종류KoSpy는 휴대전화 또는 파일 관리 앱, 스마트 매니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유틸리티, 가짜 보안 앱 등 총 다섯 가지 앱으로 위장해 사용자를 속였습니다.구글 플레이 및.. 2025. 3. 18.
2024년 랜섬웨어 동향 분석: 몸값 총액 감소와 변화하는 공격 양상 2024년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총 몸값(extortion) 금액이 8억 1,350만 달러로 집계되며, 2023년 12억 5,000만 달러에서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블록체인 분석 기업 Chainalysis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분석 결과이며, 랜섬웨어 공격이 여전히 증가하는 가운데도 피해자들의 지불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2024년 랜섬웨어 주요 통계총 몸값: 2024년 8억 1,350만 달러 (2023년 대비 감소)2024년 상반기 몸값: 4억 5,980만 달러2024년 랜섬웨어 공격 건수: 5,263건 (전년 대비 15% 증가)가장 많이 공격받은 산업군: 산업(Industrials) – 전체 공격의 27% 차지가장 많이 공격받은 지역: 북미 (전체의 55%).. 2025.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