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급망보안48

🧨 오픈소스도 안전지대는 아니다 – ‘로컬 패치 감염’이라는 새로운 위협 최근 오픈소스 생태계를 겨냥한 새로운 유형의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공격은 단순히 악성 패키지를 유포하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의 로컬 환경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정상적인 소프트웨어 파일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이른바 ‘독성 패치(Poisoned Patch)’ 기법으로 불리는 이 공격은, 패키지를 설치한 시점부터 사용자도 모르게 정상 라이브러리 내부 파일을 교체하여 악성 기능을 삽입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이 악성 패키지를 삭제하더라도 이미 감염된 파일은 원복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실제 사례: 인기 이더리움 라이브러리를 겨냥한 공격공격자는 ethers-provider2라는 이름의 악성 npm 패키지를 유포했습니다.이 패키지는 설치되자마자 로컬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eth.. 2025. 4. 15.
국가정보원, 병원정보시스템 보안을 위한 가이드라인 발표…의료분야 사이버보안 강화 본격화 최근 의료기관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가운데, 국가정보원이 병원 전산망과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보안 기준을 담은 ‘병원정보시스템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이번 가이드라인은 단순한 권고 수준을 넘어, 실제 병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무 중심의 보안 기준을 담고 있어 주목됩니다.병원보안 모델 연구 결과 반영…부처 간 협력의 결실이번 가이드라인은 단독으로 마련된 것이 아닙니다.국정원은 교육부, 보건복지부, 그리고 병원 현장 전문가들과 함께 ‘병원보안 모델 연구’를 수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 의료기관 환경에 적합한 보안 모델과 표준 운영 지침을 정립했습니다.이러한 협업의 결과로 탄생한 이번 가이드라인은 단순히 기술적 보안 조치에 머무르지 않고, 조직 차원의 정책 수립부터 .. 2025. 4. 4.
FireScam Malware: A New Threat to Android Device Security FireScam Malware: A New Threat to Android Device Security최근 안드로이드 기기를 노리는 정보탈취형 악성코드인 FireScam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Telegram Premium 앱으로 위장하여 GitHub.io 피싱 사이트를 통해 배포되었으며, 러시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앱스토어인 RuStore를 모방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Cyfirma 연구진은 12월 30일 이 악성코드가 Firebase Realtime Database 엔드포인트로 민감한 데이터를 유출한다고 밝혔습니다.FireScam의 주요 특징과 작동 방식FireScam은 사용자 기기의 화면 상태 변경, 전자상거래 활동, 클립보드 내용, 사용자 활동 등을 모니터링하여 민감한 정보를 은밀히 수집.. 2025. 1. 13.